본문 바로가기
이슈

경계경보 발령시 어디로 가야 하나 <대피 장소 알아보기>

by 오드레인 2023. 5. 31.
반응형

새벽 깨운 서울시 경계경보

지방에 살고 있어 전혀 몰랐었는데 오늘 서울에서는 오전부터 큰 혼란이 있었습니다. 바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인해 서울시에서 대응한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 때문인데요. 다행히 북한의 공격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오발령사항이라고 정정 문자가 다시 오며 일상으로 다시 복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서울시 경계경보 문자로 혼란스러워 하는 시민들
서울시 경계경보 문자 

 

서울지역 발령 시간대별 상황

  • 31일 오전 6시 29분  북, 남해 방향으로 우주발사체 발사(추정)
  • 오전 6시 32분 서울시,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 오전 6시 41분 서울시, 위급재난 문자 발송 
  • 오전 7시 3분 행정안전부, 서울시가 발송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이라고 정정 문자 발송 
  • 오전 7시 25분 서울시, 서울 전 지역 경계경보 해제 문자 발송 

 

실제라면 어디로 대피해야 하나?

이번 경계경보 발령으로 인해 서울 시민들은 많은 불안과 불편함을 느꼈습니다. 특히 행안부와 서울시의 해명이 서로 달라 더 많은 혼란이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다행히 위성발사를 오인한 걸로 넘어가지만 아직 휴전 중인 우리에게 언제라도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일이고, 만약 실제상황 속에서도 이런 식으로 컨트롤타워 없이 우왕좌왕하게 된다면 더 큰 피해가 우려됩니다. 이번 논란 중에 또 한 가지 많은 시민들이 지적하는 부분은 경계경보 발령 시 대피의 이유와 방법이 빠져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 수 없었다는 부분입니다. 만약 실제라면 일단 어디로 대피해야 할까요?

 

민방공 경보(경계·공습) 시 국민 행동 요령에 따르면 경보 발령 시 즉시 지하대피소로 이동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우리 집 주변 대피소를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입니다. 

 

1.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우리동네 대피소 조회
우리동네 대피소 조회하기

2. 안전디딤돌 앱을 통해 대피소 위치 확인 

- 앱 접속 후 민방위 대피소 확인

안전디딤돌 어플리케이션 화면
안전디딤돌 앱

안전디딤돌 앱에 들어가면 대피소 위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난 상황에 따른 국민행동요령에 대한 정보도 있으니 한 번쯤은 봐두는 게 좋습니다. 

 

지역마다 약간씩의 차이는 있겠지만 일단 대피소 장소를 살펴보면 큰 지하시설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변의 지하철 역, 아파트 단지의 주차장이 많습니다. 지진 같은 경우는 탁 트인 공간에 있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에 주변 학교 운동장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사건도 시간이 지나면 잊히고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가겠지만 적어도 이런 이슈가 있을 때 한 번쯤은 실제 상황이 생겼을 때 내가 어디로 가야 하며 어떤 준비를 미리 해 둬야 하는지 한 번쯤은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 

뉴스에는 매일 끊임없이 사건사고가 나옵니다. 최근 우리나라도 지진, 폭우, 폭설, 화재 등으로 인한 사건들이 많이 있었고, 바로 윗나라는 심심하면 미사일을 쏴대며 더 위에 국가는 현재도 전쟁 중입니다. 사실 그렇게 마음 놓고 안전하다고 말할 입장은 아닌 것이죠. 

 

우리는 우스갯소리로 '전쟁나면 그냥 죽어야지.'라는 말들을 합니다. 실제로 뉴스 댓글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글이죠. 

과연 실제 전쟁이 나거나 미사일이 날아오는 중이라고 하면 그냥 집에서 죽기만을 기다릴 수 있을까요? 본능적으로 최선을 다해서 살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네이버 접속 장애
네이버 접속장애

오늘 새벽 경계 경보 발령으로 인해 네이버 모바일 버전에 일시적인 접속 장애가 있었다고 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 접속을 하니 서버가 잠시 터진 것이죠.  이 소식을 보고 제일 먼저 생각난 것은 '작은 라디오라도 하나 준비해 둬야 되겠다'입니다. 실제 상황이 터지게 된다면 TV나 인터넷이 안될 확률이 크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