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만 나이 적용 시기와 쉬운 계산법. 이제 몇년생이세요? 라고 물어봐야하나

by 오드레인 2023. 6. 1.
반응형

만 나이 적용 시기

 2023년 6월 28일 '만 나이'로 통일하는 제도가 시행됩니다. 이제 곧 법적으로 한 살 어려질 수 있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2023년 30세, 40세, 50세 등이 되신 분들은 6월 28일부터 나이의 앞자리가 바뀌는 경험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했던 '만 나이 통일'은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만 나이'로 나이 계산법을 통일한 정책입니다. 

 

너무 쉬운 만 나이 계산법

변경되는 만 나이 계산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 올해 생일이 지났다면 :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 만 나이 
  • 올해 생일이 안 지났다면 :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 1살 = 만 나이

예시) 2001년 9월 10일생의 2023년 6월 1일 시점의 만 나이는?

2023년 - 2001년 - 1살(생일 안 지났음) = 만 21세입니다 

 

예시 2) 1993년 5월 31일생의 2023년 6월 1일 시점의 만 나이는?

2023년 - 1993년 = 만 30세입니다 (생일이 지났음)

 

만 나이 통일 포스터
만 나이 통일법 시행 포스터

앞으로 보여질 풍경 

과거 주소체계 (구주소 → 신주소) 변경 때도 혼란이 있었던 경험이 있던 터라 이번 나이 변경도 그에 못지않은 웃픈 상황들이 많이 발생할 것 같습니다. 법제처 포스터 4번에 있는 내용처럼 이제는 같은 해에 태어났지만 생일 시기에 따라 나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빠른 년생이 친구들 사이를 개족보로 만드는 것과 비슷한 혼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 저는 나이보다는 직급과 경력이 중요한 나이가 되어 크게 상관은 없겠지만 은근히 한 살 차이에 큰 의미를 주는 어린 친구분들은 재미난 상황이 많이 생길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만난 친구들은 복학생, 재수생등의 상황을 뺀다면 대부분 동갑이니 크게 문제는 없을것 같지만 사회에서 만난 사람들은 이제 나이를 물어볼 때 생년월일을 물어보는 게 더 빠르지 않을까 합니다. 과연 나이 계산법을 바꾼다고 한국의 서열문화가 없어질 수 있을까? 하는 문제에는 의문이 들지만 현재처럼 2가지의 나이 계산법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 만 나이 통일
만 나이 변경 후

 

 

반응형

댓글